백엔드 세미나 ( 10/ 13 )

Git

client 저장 되어 있어서 리모트가 날아가도 괜찮음 ( .git으로 인해)

git init -> .git 파일 생김
git push -u origin master ( 옵션은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개발자들은 명시적인 걸
좋아하는거 같다 )

git add -> staging area에 동기화가 되면서 git status에 적용

git commit -> breanch에 적용

git reset의 옵션
--soft brench만 날림
--mixed index(staging area)까지 날림
--hard work space까지 모두 날려 버림


자주 사용
add
commit
push

reset
checkout

git log를 하면 hash값들을 볼 수 있다

rebase - 부모를 최신으로 할당

commit --amend ( 스쿼시 커밋 ) 전 커밋에 커밋? 그래서 해쉬값이 바뀜

git remote add NAME 주소
git config --list에서 확인 할 수 있다

git push --force (강제로 내껄로 맞춤)

브랜치 만들기 git checkout -b 브린치 이름 ( -t )

rebase로 head를 변경 -> 그럼 해쉬값이 새로 만들어짐

SPOF
문제점 하나 죽으면 다 죽음 배포도 오래걸림

MSA
서버리스
AWS 람다



redis
rabbitMQ
카프카

mysql
posgerSQL
MongoDB


Posted by Yuni-Q

블로그 이미지
https://github.com/Yuni-Q/TIL에 정리하기 전 잊지 않기 위해 간단하게 메모해 두는 곳입니다.
Yuni-Q

태그목록

공지사항

Yesterday
Today
Total

달력

 « |  » 2025.8
1 2
3 4 5 6 7 8 9
10 11 12 13 14 15 16
17 18 19 20 21 22 23
24 25 26 27 28 29 30
31

최근에 올라온 글

최근에 달린 댓글

글 보관함